- 자료출처 – 군산시 인구 및 가구분석 자료(군산시청 홈페이지)
2023년 군산시 빅데이터분석을 통해 군산시 관내 1인가구 현황분석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이 자료를 토대로 군산시 1인가구 현황과 지역분포를 살펴보았다.
* 군산시 인구와 가구수
- 군산시 인구를 2018년에서 2022년까지를 보면 5년가 10,178명이 줄었고, 세대는 6,108세대가 증가하였다.
- 인구는 1%씩 감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대는 증가세를 보이는 것은 1인가구 증가를 예측해 볼 수 있다.
- 결혼으로 인한 세대증가보다는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2018년이후 혼인신고건수가 1000건이하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또한 출생아수도 감소하고 있기에 인구증가는 인구전입만이 대안이 될 수 있다.
* 군산시 주민등록상 읍면동 인구수와 1인가구수 현황
- 주민등록상(10대이하 제외) 읍면동 인구수는 217,298명이다.
- 인구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수송동 〉나운3동 〉소룡동 〉조촌동 〉나운2동 〉나운1동 순이다.
- 나운동(나운1동,2동,3동) 55,142명인 것과 비교하면 수송동(미장동,지곡동)인구는 40,674명으로 확장가능성이 있다. 아파트신축으로 인해 인구이동으로 인한 증가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 조촌동, 구암동 역시 아파트신축으로 인한 인구수 증가를 예상할 수 있다. 결국 실질인구는 증가하지 않고, 군산시 관내이동으로 인한 읍면동별 주민등록상 인구수의 변화가 예측된다.
- 읍면지역 11곳의 인구합계는 30,856명이면 농촌지역특성상 인구대비 1인가구는 증가할 수 있다.
- 남성, 여성 가장 많은 행정동은 수송동이다.
- 남성보다 여성이 가장 많은 행정동은 나운2동(776명)이다.
- 여성보다 남성이 가장 많은 행정동은 소룡동(1852명)이다.
* 군산시 1인가구 현황
- 2022년 기준 전북특별자치도 1인가구수는 378,039가구로 전국 17개 시도중 4번째로 많다.
- 2022년 기준 군산시 가구수는 123,176가구이다.
- 2022년 기준 군산시 1인가구수는 51,341가구로 전체가구의 41.7%를 차지하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에서는 전주시 다음으로 낮은 편이다.
- 2023년 6월 기준 군산시 1인가구(10대이하 제외)하고 51,477가구로 6개월동안 136가구가 증가하였으며, 남성가구 27,501가구이며, 여성 23,976가구로 남성1인가구가 여성보다 3,525가구 많다.
* 군산시 1인가구 분포와 생애주기층별 분포현황
- 1인가구 가장 많은 동 – 수송동 〉나운3동 〉소룡동 〉조촌동 〉나운2동 〉나운1동
- 1인가구 청년층 많은 동 – 수송동 〉나운3동 〉조촌동 〉소룡동 〉미성동 〉구암동
- 1인가구 중장년층 많은 동 – 소룡동 〉수송동 〉나운2동 〉미성동 〉조촌동 〉나운1동
- 1인가구 노년층 많은 동 – 나운2동 〉나운3동 〉수송동 〉조촌동 〉미성동 〉소룡동
- 생애주기별로 보면 중장년층은 소룡동이 가장 높으며, 인근 미성동도 포함하면 더 증가한다.
- 노년층은 나운2동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나운3동이 많다. 독거노인인구로 봐도 나운2동(1,227명), 나운3동(776명)으로 전체의 20%가 거주하고 있다.
* 군산시 1인가구 성별, 연령대, 발생원인
- 70대이상을 제외하고 1인가구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평균 50가구 많다.
- 청년층 1인가구 발생원인은 직업(취업, 이직, 사업등) 〉주택 〉가족순으로 나타났다.
- 중장년층 1인가구 발생원인은 직업 〉주택(주택구입, 계약만료등) 〉기타순이었으며, 여성의 경우는 주택문제가 가장 높은 발생원인이었다.
- 노년층 1인가구 발생원인은 주택(주거환경) 〉직업 〉기타이었으며, 여성과 남성모두 주거와 직업이었다. 남성의 경우 직업이 높았다.
군산시 1인가구가 전체 가구수의 40%를 넘었다.
출산율 및 인구감소, 1인가구 증가는 군산시만의 상황은 아니다. 전국적으로 10명중 4명이 1인가구이다. 이에 따라서 광역지자체와 시군구 지방정부에서는 1인가구 지원조례를 만들고 정책추진을 하고 있으나, 아직은 1인가구 고독사와 사회적고립에 집중되고 있다. 1인가구정책은 노인정책, 청년정책, 여성정책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군산시의 1인가구관련 사업을 찾아보면 1인가구 고독사 지원조례와 홀로사는 노인고독사 예방을 위한 조례를 통한 지원사업(복지적 접근)과 범죄 예방을 위해 1인 가구와 여성 1인 점포에 안심장비 지원사업, 일부 군산시 기관에서 진행하는 심리상담지원, 소셜다이닝, 지역복지협의체에서 진행하는 방문사업들이 진행되고 있다.
지역, 연령, 성별 특성을 반영된 1인가구 지원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1인가구는 청년층이 자발적이라면 중장년층과 노년층은 비자발적인 가구이다. 그로인해 생애주기별, 성별 여성과 남성의 1인가구가 느끼는 문제는 같아보이면서도 다름이 존재한다. 1인가구 지원사업은 복지차원이 아니라 생계부터 주거, 사회적관계 형성을 망라하는 문제로 접근하여, 지속적인 실태조사를 통해 생애주기별, 인구수별 1인가구 지원계획수립과 수행이 필요해 보인다.
군산시 주민등록상(10대이하를 제외하고) 인구의 24%이자, 가구수의 40%가 1인가구이다. 1인가구을 위한 지원사업을 노년층의 고독사와 사회적고립뿐만 아니 라취업지원, 주거안정, 건강관리, 의료사각지대해소, 식생활개선과 먹거리, 범죄예방, 사회안전망 확충, 문화예술지원등 군산시 사업전반에 1인가구를 반영한 정책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1인가구 지원에 대한 시의 책무를 분명히하고, 실태조사와 1인가구의견수렴을 통해 적극적인 정책대안을 마련이 절실한 시기이다.
군산시 1인가구 고독사예방조례와
홀로 사는 노인 고독사 예방지원조례를 통합할 필요성 있다.
* 전국지자체의 1인가구 지원과 고독사, 사회적고립 조례현황(자치법규정보시스템 검색결과)
- 1인가구 기본조례(지원조례)
- 고독사예방과 사회적 고립
- 고립ㆍ은둔 청년지원 조례
- 은둔형 외톨이 지원 조례
- 홀로 사는 노인 고독사 예방 및 지원에 관한 조례
군산시는 ‘군산시 1인 가구 고독사 예방을 위한 지원 조례’ ‘군산시 홀로 사는 노인 고독사 예방을 위한 조례’를 제정하고 있다. 이 두 조례는 유사한 조례이다. 지원대상과 예방 및 지원사업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고독사 및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는 조례를 통합하여 지원대상 폭을 확대하고, 청년부터 노년층까지를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 자료출처 – 군산시 인구 및 가구분석 자료(군산시청 홈페이지)
2023년 군산시 빅데이터분석을 통해 군산시 관내 1인가구 현황분석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이 자료를 토대로 군산시 1인가구 현황과 지역분포를 살펴보았다.
* 군산시 인구와 가구수
- 군산시 인구를 2018년에서 2022년까지를 보면 5년가 10,178명이 줄었고, 세대는 6,108세대가 증가하였다.
- 인구는 1%씩 감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대는 증가세를 보이는 것은 1인가구 증가를 예측해 볼 수 있다.
- 결혼으로 인한 세대증가보다는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2018년이후 혼인신고건수가 1000건이하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또한 출생아수도 감소하고 있기에 인구증가는 인구전입만이 대안이 될 수 있다.
* 군산시 주민등록상 읍면동 인구수와 1인가구수 현황
- 주민등록상(10대이하 제외) 읍면동 인구수는 217,298명이다.
- 인구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수송동 〉나운3동 〉소룡동 〉조촌동 〉나운2동 〉나운1동 순이다.
- 나운동(나운1동,2동,3동) 55,142명인 것과 비교하면 수송동(미장동,지곡동)인구는 40,674명으로 확장가능성이 있다. 아파트신축으로 인해 인구이동으로 인한 증가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 조촌동, 구암동 역시 아파트신축으로 인한 인구수 증가를 예상할 수 있다. 결국 실질인구는 증가하지 않고, 군산시 관내이동으로 인한 읍면동별 주민등록상 인구수의 변화가 예측된다.
- 읍면지역 11곳의 인구합계는 30,856명이면 농촌지역특성상 인구대비 1인가구는 증가할 수 있다.
- 남성, 여성 가장 많은 행정동은 수송동이다.
- 남성보다 여성이 가장 많은 행정동은 나운2동(776명)이다.
- 여성보다 남성이 가장 많은 행정동은 소룡동(1852명)이다.
* 군산시 1인가구 현황
- 2022년 기준 전북특별자치도 1인가구수는 378,039가구로 전국 17개 시도중 4번째로 많다.
- 2022년 기준 군산시 가구수는 123,176가구이다.
- 2022년 기준 군산시 1인가구수는 51,341가구로 전체가구의 41.7%를 차지하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에서는 전주시 다음으로 낮은 편이다.
- 2023년 6월 기준 군산시 1인가구(10대이하 제외)하고 51,477가구로 6개월동안 136가구가 증가하였으며, 남성가구 27,501가구이며, 여성 23,976가구로 남성1인가구가 여성보다 3,525가구 많다.
* 군산시 1인가구 분포와 생애주기층별 분포현황
- 1인가구 가장 많은 동 – 수송동 〉나운3동 〉소룡동 〉조촌동 〉나운2동 〉나운1동
- 1인가구 청년층 많은 동 – 수송동 〉나운3동 〉조촌동 〉소룡동 〉미성동 〉구암동
- 1인가구 중장년층 많은 동 – 소룡동 〉수송동 〉나운2동 〉미성동 〉조촌동 〉나운1동
- 1인가구 노년층 많은 동 – 나운2동 〉나운3동 〉수송동 〉조촌동 〉미성동 〉소룡동
- 생애주기별로 보면 중장년층은 소룡동이 가장 높으며, 인근 미성동도 포함하면 더 증가한다.
- 노년층은 나운2동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나운3동이 많다. 독거노인인구로 봐도 나운2동(1,227명), 나운3동(776명)으로 전체의 20%가 거주하고 있다.
* 군산시 1인가구 성별, 연령대, 발생원인
- 70대이상을 제외하고 1인가구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평균 50가구 많다.
- 청년층 1인가구 발생원인은 직업(취업, 이직, 사업등) 〉주택 〉가족순으로 나타났다.
- 중장년층 1인가구 발생원인은 직업 〉주택(주택구입, 계약만료등) 〉기타순이었으며, 여성의 경우는 주택문제가 가장 높은 발생원인이었다.
- 노년층 1인가구 발생원인은 주택(주거환경) 〉직업 〉기타이었으며, 여성과 남성모두 주거와 직업이었다. 남성의 경우 직업이 높았다.
군산시 1인가구가 전체 가구수의 40%를 넘었다.
출산율 및 인구감소, 1인가구 증가는 군산시만의 상황은 아니다. 전국적으로 10명중 4명이 1인가구이다. 이에 따라서 광역지자체와 시군구 지방정부에서는 1인가구 지원조례를 만들고 정책추진을 하고 있으나, 아직은 1인가구 고독사와 사회적고립에 집중되고 있다. 1인가구정책은 노인정책, 청년정책, 여성정책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군산시의 1인가구관련 사업을 찾아보면 1인가구 고독사 지원조례와 홀로사는 노인고독사 예방을 위한 조례를 통한 지원사업(복지적 접근)과 범죄 예방을 위해 1인 가구와 여성 1인 점포에 안심장비 지원사업, 일부 군산시 기관에서 진행하는 심리상담지원, 소셜다이닝, 지역복지협의체에서 진행하는 방문사업들이 진행되고 있다.
지역, 연령, 성별 특성을 반영된 1인가구 지원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1인가구는 청년층이 자발적이라면 중장년층과 노년층은 비자발적인 가구이다. 그로인해 생애주기별, 성별 여성과 남성의 1인가구가 느끼는 문제는 같아보이면서도 다름이 존재한다. 1인가구 지원사업은 복지차원이 아니라 생계부터 주거, 사회적관계 형성을 망라하는 문제로 접근하여, 지속적인 실태조사를 통해 생애주기별, 인구수별 1인가구 지원계획수립과 수행이 필요해 보인다.
군산시 주민등록상(10대이하를 제외하고) 인구의 24%이자, 가구수의 40%가 1인가구이다. 1인가구을 위한 지원사업을 노년층의 고독사와 사회적고립뿐만 아니 라취업지원, 주거안정, 건강관리, 의료사각지대해소, 식생활개선과 먹거리, 범죄예방, 사회안전망 확충, 문화예술지원등 군산시 사업전반에 1인가구를 반영한 정책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1인가구 지원에 대한 시의 책무를 분명히하고, 실태조사와 1인가구의견수렴을 통해 적극적인 정책대안을 마련이 절실한 시기이다.
군산시 1인가구 고독사예방조례와
홀로 사는 노인 고독사 예방지원조례를 통합할 필요성 있다.
* 전국지자체의 1인가구 지원과 고독사, 사회적고립 조례현황(자치법규정보시스템 검색결과)
- 1인가구 기본조례(지원조례)
- 고독사예방과 사회적 고립
- 고립ㆍ은둔 청년지원 조례
- 은둔형 외톨이 지원 조례
- 홀로 사는 노인 고독사 예방 및 지원에 관한 조례
군산시는 ‘군산시 1인 가구 고독사 예방을 위한 지원 조례’ ‘군산시 홀로 사는 노인 고독사 예방을 위한 조례’를 제정하고 있다. 이 두 조례는 유사한 조례이다. 지원대상과 예방 및 지원사업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고독사 및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는 조례를 통합하여 지원대상 폭을 확대하고, 청년부터 노년층까지를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