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군산시민연대 활동계획

군산시민연대
2020-04-20
조회수 675
2020년 참여자치군산시민연대 활동계획

[2020년 주요활동방향]
- 군산시, 군산시의회에 대한 견제와 감시 역할을 강화하고, 제21대 총선활동
- 단체활동기록(민주화운동~시민운동)을 담은 군산시민운동사 출간(6월~9월)
- 제9기 군산시민연대는 책임있는 참여, 회원공감활동 확대
- 단체독립공간조성을 위한 재정모금운동 시작

[활동계획 수립방향]
- 415총선을 통해 지역정치개혁촉구 – 정책검증, 클린선거운동, 투표참여촉구(3월~4월)
- 2018년 12월부터 준비한 군산시민운동사 출간(6월~9월)
- 군산시, 군산시의회 감시 및 견제, 지역현안에 대응을 통해 책임있는 역할(1월~12월)
- 총회이후 임원등기 및 사무실이전 실시(3월~4월)
- 회원에 대한 감사를 전하는 22년지기상~11년지기상까지 수여(3월~12월)

1. 풀뿌리시민운동 활성화
- 풀뿌리지역운동단체로써의 역할에 집중한다.
- 군산시와 군산시의회를 대한 감시 및 대안제시활동에 집중한다.
- 공동현안, 연대활동에서 능력에 맞는 활동한다.

① 415총선대응(3월~4월)
- 415 제21대국회의원선거는 군산시민이 국회로 보낼 사람을 뽑는 선거로
- 선거법개정으로 연동형비례대표 선출, 18세 투표권 부여등으로 변화가 있다.
- 정책공약 요구 및 검증, 클린선거운동, 총선투표참여

② 군산시, 군산시의회 견제와 감시활동
- 2020년 군산시중점사업, 예산분석감시사업, 시민광장플랫폼(기획제시, 3개월마다, 내부회의)
- 업무추진비 공개운동 - 군산시·군산시의회 고위공직자 2019년 업무추진비 분석결과 발표(2월), 업무추진비·의정업무공통경비 공개청구(3월, 7월, 9월, 1월), 분석결과(상반기-7월, 하반기-2월)  
- 축제모니터링 의견개진운동 - 2020군산야행(8월), 2020군산시간여행축제(9월), 군산희망복지박람회(9월), 예산반영 행사모니터링
- 공직기강 강화운동 - 군산시 공직기강과 군산시 청렴도 개선활동 모니터링 진행(3월~12월)
- 군산시위원회참여 - 군산시 시민참여예산위원(2019년~), 군산시 시민감시관(2019년~)
- 군산시의회 감시견제활동 – 의정활동 및 품위유지 모니터링, 군산시의회 국외연수심의(국외연수심의위원회)

③ 군산신규화력발전소 건설저지활동(군산공동현안)
- 군산 화력발전소 신규건설반대 군산시민사회행동(2017년 7월~, 실무단체)
- 군장에너지, 중부발전의 목재펠릿화력발전소 신규건설 반대활동이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연대활동추진

④ 지역연대활동
- 군산미군기지우리땅찾기시민모임(1997년~, 운영위원) - 월례집회 및 주한미군관련 대응
- 군산시민사회단체 실무자연석회의(2009~2011년, 2014년, 2016년~, 회원) - 공동현안논의, 단체간 친목도모(단합대회, 산행, 집담회등 기획운영), 2020년신년회(1월)
- 전북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2000년~, 집행위원) - 전북총선대응, 활동가역량강화활동, 지역대응
- 전북안전사회환경모임(2018년~,운영위원) - 군산시화학물질관리민관협력강화, 화학사고대응
- KCN금강방송시청자위원회(2018년~)

2. 군산시민운동사 발간(2020년 6월)
단체창립 20주년사업을 맞아 1987년~2018년까지 활동을 책으로 출간하기로 한 사업으로 2019년 6월에 종료하고자 하였느나, 이를 완료하지 못하여 2020년 6월까지 시기를 설정하고 준비된 정도에 맞는 책출간을 추진하기로 하고, 책발간펀드조성과 원고작성-편집을 한다.

- 2020년 6월 출간-5월(편집)-2월~4월(원고)
- 500부 제작(1쇄)
- 책발간펀드조성(2019년-5백만원, 2020년-1천만원 – 1천5백만원 조성)

3. 군산시민연대 내적강화
  군산시민연대 현재와 미래를 고민하는 시작점에 서서 운영책임성과 회원감사, 회원과 함께하는 활동기획과 운영을 회원들에게 더 깊은 유대와 만족을 줄 수 있도록 한다. 미래를 위해서 회원-NGO공유공간 마련한다.  

① 조직운영과 참여활동
- 제9기 대표, 운영위원, 감사, 사무국장 선출
- 운영위원 역할별 모임 운영(간행물위원회, 회원사업위원회, 지역문제위원회)
- 군산시민연대 자문위원 구성(5인 이내) - 민주화운동과 시민운동을 함께한 회원으로 구성
- ‘회원지기상’수여(가입 22년~11년차 회원에 대한 회원상 매월 수여), 참여가능한 회원에게 수여, 식사모임, 참여하지 못한 회원에게 우편발송(기념품 제작)
- 정기모임 – 회원총회(3월), 동지송년회(12월)
- 소규모 모임 – 자수모임(4월모임시작), 5월광주방문(40주년기념), 회원영화데이(10월 2일), 밥모임, 청년회(49세이하회원), 독서모임, 기행등 운영

② 단체는 회원으로부터 - 회원배가운동
- 단체 회원배가 필요성 – 단체는 회원으로부터 단체가치가 나온다.
- 회원배가(지인추천)운동으로 통해 신규회원가입(목표 – 50명)
- 회원배가의달(5월, 10월, 11월) - 총력집중하는 달
- 운영위원 책임 회원배가운동 추진

③ 공간마련프로젝트 – NGO공유공간 ‘집’
- 단체창립 25년(2023년0 NGO공유공간을 지향하는 공간마련 프로젝트 수행
- 지속가능한 운동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여, 회원 및 단체와 공유한다.
- 2020년~2022년(3년) 3년차 계획수립(목표-1억원)
- 1구좌(10만원)~100구좌(1천만원) 특별기부
- 기부자이름을 공간에 새김하여 기록화

④ 회원소통홍보
- SNS회원소통 - 홈페이지, 티스토리, 페이스북그룹, 회원전용밴드, 따스한손길(웹메일) 소통
- 정기간행물 제작배포 – 회원 직접참여 공간 확대, 매월 발행
- 개인정보안전관리 - 자료관리 및 업데이트 진행(2~3개월단위로 관리)
- 자원봉사활동 확대 – 사무행정보조, 행사지원, 이사, 사무실관리등 필요한 자원봉사기획운영
- 주요사업에 대한 언론보도강화 및 모니터링

⑤ 단체운영투명성 강화
- 임원선출 후 전북도보고, 등기신고(3월~4월)
- 운영비결산 온-오프라인 공개 - 전년도결산 및 익년도예산공개(3월, 7월), 6개월단위공개
- 연말기부금영수증 발행 (2021년 1월 15일-국세청연말정산)
- 세무서신고- 법인공익재산신고(3월), 기부영수증발행금액(6월), 근로소득신고(7월, 1월)
- 전라북도 비영리법인전북도신고(3월)